3월 모의고사, 충격에 준비하라

 

예비 고 1학생들이 입학을 하고, 드디어 고등학생이 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예비 고3 학생들도 진짜 고3 수험생이 되었을 것입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때에도 정기적으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보긴 했지만, 고등학교 때부터는 다들 아시다시피 모의고사를 봅니다.

모의고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형태로 출제되며, 크게 공설/평가원 모의고사와 사설 모의고사로 나누어집니다. 그 형식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처음 모의고사를 접하는 학생들이라면 아마 다소 충격을 받으리라 생각합니다. 중학교 때까지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예비 고1 때는 고등학교 1학년 3월 모의고사를 따로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시험을 치르면 충격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가장 충격에 빠지는 아이들은 고1 학생들과, 또 고3 학생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1은 정해진 시간동안 촉박하게 문제를 풀어야 하는 모의고사 형태에 놀라고, 고3 학생들은 갑작스럽게 어려워진 난이도에 놀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고1 학생들을 대상으로 더 깊게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어쨌든 고1의 경우, 중학생 때 ‘공부 좀 한다’ 소리를 들었던 학생들이라면 더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중학생 때는 전혀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던 학생들이 오히려 좋은 성적을 받고, 본인은 상대적으로 성적이 떨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학이나 영어, 과학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특히나 국어에서 이 괴리감을 느낄 공산이 큽니다.

 

“내가 공부를 이상하게 하고 있었나?”

“왜 쟤는 갑자기 성적이 잘 나온 거지?”

 

이런 생각을 하신다면, 지극히 정상입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때부터 성공가도를 달리면서도 고등학교 때까지도 쭉 성적의 성장 곡선을 그릴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고등학교는 요구하는 역량이 다릅니다. 따라서 3월 모의고사를 치르기 전 미리 준비하고, 모의고사 이후에도 충격에 대비해야 합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등학교 국어가 어렵다면? 방대한 텍스트와 친해져라!

 

모의고사의 1교시는 국어 시험으로 시작합니다. 많은 학생들이 느끼겠지만, 고등학교 모의고사에서 읽어야 하는 국어 지문의 분량은 중학생 때와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많습니다. 고2,3학년 또는 이미 대학생이 된 멘토 선생님들의 눈에는 그리 길지도 어렵지도 않은 텍스트일지라도, 중학교 시험들에서 접하는 글의 깊이와 길이에 비하면 꽤나 어렵고 방대할 수밖에 없습니다. 중학생 때는 국어 시험을 보면 곧잘 점수가 나오다가도 3월 모의고사에서 성적이 미끄러졌다면 그 이유는, ‘글을 읽는 것’ 자체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80분 안에 45문제를 풀어야 하니, 단순 계산으로 잡아 한 문제당 2분도 안 되는 시간동안 문제를 풀어내야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어라는 과목이 무엇인지 한 번 생각해 봐야 합니다.

 

국어 시험은 어떤 시험일까요? 간단합니다. 시험지에 적혀 있습니다.국어 시험이란,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는” 시험 입니다.

 

따라서 국어를 잘 하려면 글을 잘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중학교 때 반에서 공부는 안 하고 소설책만 들여다보던 친구들이 꼭 하나씩은 있을 것입니다. 이런 아이들은 뜻밖에도 3월 모의고사를 보면 고득점을 합니다. 이런 아이들을 보고, 원래 중학생 때 공부를 하던 아이들이 ‘왜 저 애는 갑자기 성적이 잘 나온걸까’ 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도 간단합니다. 글을 읽는 연습이 잘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비록 소설책, 혹은 판타지 소설이라고 할지라도, 방대한 텍스트를 읽는 연습을 해 두면 상대적으로 글을 잘 읽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독서 습관이 잡힌 아이들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국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시작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예비 고3 학생들이라면 현실적으로 늦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제 고1이 된 학생들, 혹은 예비 고1 학생들이라면 늦지 않았습니다. 장르를 불문하고 책을 많이 읽음으로써 텍스트와 친해질 수 있습니다. 독서는 멘토들이 입을 모아 강조합니다.

꼭 독서가 아니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다못해 위키를 읽는 것, 잡지를 읽는 것, 혹은 국어 문제를 많이 푸는 것도 텍스트와 친해지는 길입니다. 일단 텍스트와 친해지고 나면, 국어 공부법의 절반은 해결되었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나머지는 공부법을 디테일하게 다듬고, 성적을 올리기 위해 스스로 고민하는 것입니다. 텍스트와 친해지는 것, 국어 공부의 뿌리와도 같습니다.

 

핵심은 방법이 아니라 실천!

 

이 글에서는 3월 모의고사를 처음 보는 고1 학생들이 국어 과목에서 느끼는 충격, 당혹감과 그 해결책을 알아보았습니다. ‘텍스트와 친해져라’라니, 막연하게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방법이 너무 단순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핵심은 방법에 있지 않습니다. 공부를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는 모든 사람이 잘 압니다. 혼자서 열심히 오랫동안 공부하는 것. 돈을 모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든 사람이 알고 있습니다. 적게 쓰고, 많이 벌고, 저축하는 것. 그러나 이를 실제로 해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요컨대, 핵심은 이 방법을 어떻게 실천하느냐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실천하더라도 어떻게 꾸준히 실천하느냐가 문제입니다. 이 문제로 부모님들과 학생들은 골머리를 앓습니다. 저희는 이런 고민을 떠안고 있는 학생들, 그리고 학부모님들을 만나왔습니다.

그 고민에 저희가 내리는 결론은 언제나 같습니다.결국은 아이가 스스로 실천하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주변에서 아이의 환경을 장악해내고, 실천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실천이 거듭되고 누적될 때, 아이는 진정으로 “학습 경험”을 하게 됩니다.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