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연세대 경제학부 멘토 이현성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의 삶과 공부의 경험을 바탕으로, 멘토링에 있어 학생들을 대하는 저의 일반적인 태도와 각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제 취미이자 특기는 바둑입니다. 요즘은 젊은 층에서는 좀처럼 바둑을 두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저는 초등학생 때부터 바둑 프로기사를 준비했을 정도로 바둑에 흥미와 재능이 있었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건대, 바둑을 두며 배운 지혜들은 저의 학습 경험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저는 바둑으로부터 배운 공부의 방법이란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첫째, 포석을 놓는 공부 습관과, 둘째, 손을 무릎에 붙이고 질서를 파악하는 눈입니다.

 

공부의 포석을 놓는 멘토.

 

 포석을 놓는 공부 습관에 관해 이야기하기 위해, 국어 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둑의 승패를 가르는 절반은 포석을 어떻게 놓느냐입니다. 이런 점에서 바둑의 절반은 포석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저는 공부에도 포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름 아닌 국어입니다. 국어 공부는 언어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국어 공부법에 관해서는 다른 글에서 더 이야기하겠지만, 결론적으로 저는 고등학교 공부의 절반은 국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결국 대학 입시의 최종장인 수능에서 요구하는 것의 절반이 국어이기 때문입니다. 영어단어를 많이 외워야 하는 영어, 개념을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수학, 과학과는 달리, 국어는 달리 요구하는 ‘지식’ 자체는 많지 않습니다. 다만 국어를 잘 하기 위해서는 좋은 독해 습관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학생에게 올바른 독해 습관, 나아가 언어적인 사고력을 가르치기 위해, 저는 멘토로서 일하고 있습니다. 
 좋은 독해 습관과 언어적인 사고력을 기르는 것은, 단지 좋은 책과 자료만으로 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바둑을 배울 때에도 좋은 스승 아래에서 차근차근 배우듯이, 공부에 있어서도 길잡이 역할을 해줄 스승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스승이 전하고자 하는 바를 온전히 제자에게 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제 생각이 처음부터 이렇게 자리잡았던 것은 아닙니다. 학생의 입장을 고려해서, 학생과 직접 밀착하여 지도할 필요성을 느낀 것은 비교적 최근입니다.

 

학생의 입장에서도 좋은 스승은 필요합니다.

 

 과거 타 학원에서 학습 자료 제작 팀에서 근무했을 때, 학생들로부터 불만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기출 문제를 짜깁기한 수준의 문제는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으니, 저는 나름대로 심화된 연계 자료들을 구성해 배포하였습니다. 학생들 입장에서는 당황스러웠을 것입니다. 학생들은 기출문제 분석 수준도 따라오지 못하고 있었는데, 거기서 더 나아간 심화 자료를 주니, 너무 지엽적이거나 과한 내용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제 입장에서는 답답한 마음도 들고,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학생의 입장을 생각해보니, 또 이해가 되었습니다. 바둑으로 비유하자면 아마추어 9급에게 기보만 던져주고 알아서 공부하라고 한 셈입니다. 그런데 사실 그런 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요컨대 학생의 입장에서도, 직접 달라붙어 지도해줄 스승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침묵 속에서 질서를 관통하는 눈을 길러야 합니다.

 

 바둑이 제게 가르쳐준 두 번째 지혜를 이야기하는 데 있어, 저의 바둑 선생님으로부터 매번 들었던 말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제게 항상 손을 무릎에 붙이고 바둑판을 조용히 응시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손에 무릎에 붙이고 있으면 바둑돌을 빠르게 둘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바둑에서는 하나의 악수를 가지고서도 승패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 잘못 둔 수임에도 결국은 이겼다면 ‘실수’라 부르고, 졌다면 ‘패착’이라고 부릅니다. 이처럼 일단 선택한 결과는 무를 수 없기에, 바둑에서는 무엇보다도 신중한 판단력이 요구됩니다. 
 공부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수능에서 잘못 고른 선택지 하나는 대학의 당락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무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제가 학생들을 지도할 때도, 펜이나 연필부터 나가기 전에 손을 무릎에 붙이고 조용히 지문을 응시하라고 말합니다. 마치 바둑판을 응시하듯 지문을 응시하다 보면, 문제가 요구하는 질서가 드러납니다. 
 ‘아, 전에 봤던 내용이 여기에도 있네.’ ‘아, 지문에서 이런 내용이 나오니 문제도 비슷하게 나오네.’ ‘다섯 선지 중에서 이런 내용들은 전에 봤던 거랑 비슷하네’ ‘이런 예외들에도 규칙이 있네’ 하는 크고 작은 질서들이 문제에 녹아있습니다. 이는 바둑에서 기보를 공부하고, 수를 연구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문제에 녹아든 질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면, 수능을 비롯한 고등학교 공부는 잘 할 수밖에 없다고, 조심스레 언명하겠습니다. 이는 문이과를 가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여담이지만, 저도 고등학교는 이과를 졸업하여 문과인 경제학부를 지원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문이과를 넘나드는 학습을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자원은, 공부의 질서를 파악할 수 있는 눈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의 질서를 파악하는 눈을 기르기 위해서는, 침묵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침묵은 어색함이나 무지나 무관심에서 비롯한 침묵은 아닙니다. 이른바 메타인지라고 하는 자기점검, 이른바 자기주도학습이라는 사고의 회로가 동반된 침묵입니다. 그리고 저는 멘토로서, 아이의 이 침묵에 동참합니다. 관심과 애정어린 시선을 동반한 침묵은, 학생이 스스로 바뀌어 나가기에 충분한 토대가 됩니다.

 

절망의 끝에서, 희망은 시작됩니다.

 

“절망이야말로 가장 순수하고 치열한 정열이다”

 

 제가 가장 인상 깊게 읽은 책인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의 한 구절입니다. 저도 여느 수험생과 마찬가지로, 수험생활을 하며 숱한 절망을 겪었습니다. 고1때 장래희망을 설정하고 그에 자신을 맞추었다가, 회의감을 느끼고 진로의 방향을 틀었습니다. 대학을 이과에서 문과로 교차지원을 했고, 수시 지원한 대학을 모두 떨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자신 있던 수능에서마저 당일 아침 국어 시험에서 흔들리는 바람에 100% 실력 발휘를 하지는 못했습니다. 아마도 이런 크고 작은 절망들은, 저 뿐만 아니라 다른 멘토 선생님들, 나아가 학생들도 겪어왔고 또 앞으로 겪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절망의 끝에서도, 희망은 있다고 믿습니다. 
 제가 교차지원을 통해 경제학을 전공한 것도, 이러한 절망 속의 치열하고도 순수한 정열의 소산이었습니다. 운이 좋게도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해당 분야에 진출한 선배들을 만난 경험이 있었습니다.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진로였지만,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밝은 미래와 넓은 기회가 있는 전공이었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때까지는 생각해보지 않았지만, 앞으로 살아갈 날들이 더 많았습니다. 이러한 생각 끝에, 경제학을 전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평소에도 하는 생각이지만 세상은 선형적인 수직선이라기보다는, 양 끝이 연결된 띠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수직선은 양 극단에 서있다면 영영 만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띠는 양극단이 오히려 가깝습니다. 가장 절망적인 순간이 어쩌면 가장 희망적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제게는 이 희망과 뒤섞인 절망이, 수험 생활의 등불이 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수험 생활에서 이런저런 어려움을 겪을 학생들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저는 학생 하나하나에 책임을 다하여 학생들의 등불이 되는 멘토입니다.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