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학부모님들이 고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수학 선행학습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는 아이가 학교 다니기를 즐거워하고 건강하기만 해도 별다른 걱정이 없는데, 5-6학년 정도가 되면 슬슬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시야에 들어오기 때문인지 이런 고민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은 듯합니다.

 

제 성장 경험, 그리고 지금까지 학생들을 지도한 경험을 토대로 가장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초등학교 고학년 때 수학 선행학습을 해도 그 자체로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는, 수학 선행학습을 할지 말지 고민하시기에 앞서 문제를 바라보는 시선을 약간은 틀어보실 것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즉,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학 선행학습을 하는 것은 그 자체로 중요하지 않고, 어떤 선행학습인지가 더 중요합니다.

 

간혹 제가 학부모님들로부터 듣는 말씀이 있습니다.

중학교 때부터는 수학이 어려워지니, 아직은 한가한 초등학생 때 미리 공부를 해두어야 하지 않느냐고 말입니다.

그런데, 수학이 어려워진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고민해보신 적이 있나요?

한번 함께 숙고해보면 좋겠습니다.

 

중학교에 들어가서 처음 접하는 것 중 하나는 미지수가 포함된 방정식입니다.

새롭고 낯선 것이 대개 그러하듯이, 물론 방정식이 어렵게 느껴질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중학교에서부터라면 방정식을 활용해 풀었을 문제들이 주니어수학올림피아드에 출제된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주니어수학올림피아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경시대회인데, 원칙적으로는 초등학교에서 배운 수학만으로도 풀 수 있는 문제를 내야 합니다.

 

주니어수학올림피아드가 반드시 선행학습을 조장한다거나, 아니면 중학교 수학 수준의 선행학습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은 풀 수 없는 문제들을 낸다고 생각하신다면 곤란합니다.

왜냐면 주니어수학올림피아드 문제들은 정말로 초등학교에서 배운 수학만으로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행학습한 내용을 활용해 푸는 학생들도 당연히 있기는 하겠지만 일단은 논외로 하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주니어수학올림피아드 이야기를 꺼낸 까닭은, 중학교 수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문제 자체의 수준이 대단히 높아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 표현 및 접근이 낯설어지기 때문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서였습니다.

 

저는 중학교에서의 수학을 이렇게 표현하고 싶습니다.

중학교에서의 수학 공부란, 본질적으로 일상의 언어를 수학적 언어로 어떻게 변환시키는지 배우는 것입니다.

즉, ‘철수는 12초에 100m를 달리고 영수는 10초에 60m를 달리는데, 영수가 철수보다 5초 빨리 출발했을 시 영수가 출발한 후 철수가 영수를 따라잡는 시점’을 ‘100/12*(x-5)=60/10*x를 만족하는 x의 값’이라고 번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학교에서의 수학 공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시 말씀드립니다.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라면, 초등학교 고학년은 얼마든지 수학 선행학습을 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이 수학 선행학습은 수학의 언어에 친숙해지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해야 합니다.

이는 고등학교 때까지 써먹을 가장 기본적인 실력이고,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진도를 많이 나간다 한들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의 수학 실력은 흔들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 수학, 열심히 하는데 왜 성적이 안 오를까?
    • 수학 공부법 멘토

    박진우 멘토(서울대 재료공학과) 수학을 공부하면서 이런 생각 해봤나요? '나 진짜 열심히 했는데, 왜 성적이 그대로지?'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학원도 열심히 다녔고, 할 거 다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게 진짜 ‘공부’였는지, 그냥 자기만족에 불과한 것은 아니었는지, 그리고 그 공부가 ‘시험에 맞는 전략적인 공부...

  • 수학 공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 수학 공부법 멘토

    구명륜 멘토(연세대 치과대학) 복습 노트와 오답 노트로 만드는 수학 공부 루틴 “수학 공부는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공부 상담을 하다 보면 정말 자주 듣는 말입니다. 그냥 문제집을 펴놓고 멍하니 앉아 있기만 한 경험, 한 번쯤은 다들 있으실 거예요. 오늘은 막연하게 느껴졌던 수학 공부를 구체적...

  • 수학 문제 풀이, 꼭 해설지처럼 써야 할까?
    • 수학 공부법 멘토

    염경호 멘토(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 수학 공부를 시작하면 꼭 듣는 말이 하나 있죠. 문제 풀 땐 식을 한 줄 한 줄 깔끔하게 해설지처럼 써야 한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이 조언을 따라 풀이노트를 또박또박 줄 맞춰서 깔끔하게 쓰려고 노력합니다. 물론, 이런 방식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수학적 사고 과정...

  • 수능 수학 100점을 받는 공부법? 있어!
    • 수학 공부법 멘토

    김유석 멘토(연세대 건축공학부) 오늘 포스팅 주제는 수학을 잘한다 하는 학생들 중에서도 100점을 받고자 노력하는 친구들을 위한 것입니다. 간혹 수학을 괜찮게 하니까 시험에선 어떻게 되지 않을까~ 하고 요행을 바라는 친구들이 있어요. 100점이라는 것은 수학을 잘한다는 것만으로 받을 수 없는 점수입니다. 수학의 본...

  • 나에게 맞는 수학 공부법은 무엇일까
    • 수학 공부법 멘토

    강찬영 멘토(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 요즘 MBTI별 공부방법이라는 콘텐츠들이 유행하는데요. 학생의 상황과 성격에 따라 달리 공부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에는 저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멘토도 학생들에 따라 각각 문제점을 진단하고 공부방법을 다르게 멘토링하게 되거든요. 특히나 수학이란 과목이 기초가 탄탄하지 않...

  • 수학 개념노트 제대로 쓰고 싶다면
    • 수학 공부법 멘토

    김민정 멘토(고려대 생명공학부) 수학 공부에서 개념노트가 중요하다는 말,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었을 겁니다. 근데 실제로 개념노트를 쓰려고 보면 "뭘 어떻게 써야 하는거지? 교과서에 나온걸 그대로 베껴 쓰라는 건가? 개념을 쓰고 나면 끝이면 이걸 왜 꼭 써야 해?" 질문이 막 생깁니다. 멘토가 이 질문에 답을 하자면,...

  •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 선행학습을 해야 할까?
    • 수학 공부법 멘토

    많은 학부모님들이 고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수학 선행학습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는 아이가 학교 다니기를 즐거워하고 건강하기만 해도 별다른 걱정이 없는데, 5-6학년 정도가 되면 슬슬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시야에 들어오기 때문인지 이런 고민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은 듯...

  • 서울대 수학과 멘토의 수학 문제집 리뷰: 쎈 VS 자이스토리
    • 수학 공부법 멘토

    0: 수학 문제집을 풀기 전, 문제집의 특성을 고민하라 수학 공부를 할 때 개념서 외에 문제집으로도 공부해야 한다는 점은 모두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딱히 어려운 일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각 문제집의 특성을 고민해보는 일은 드문 것 같습니다. 조금만 생각해 보면 자신의 실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

  • 절대 다수의 학생들이 생기부 작성할 때 실수하는 이것
    • 수학 공부법 멘토

    안녕하세요, 서울대 수학과 진세인 멘토입니다. 저는 서울대에 수시로 진학했고, 지금도 여러 대학에 수시 진학을 생각하며 생활기록부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을 돕고 있습니다. 그런데 멘토링 활동 중에서뿐만이 아니라 과거 학원에서 일하거나 과외를 하던 시기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절대 다수의 학생들이 생기부를 작성...

  • 고려대 수학과 멘토의 수학 공부 팁
    • 수학 공부법 멘토

    안녕하세요, 고려대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있는 장형규 멘토입니다. 간혹 수학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들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수학 공부를 하고 있는, 그것도 열심히 하고 있는 학생들을 말하는 것이지 아예 수학 공부를 안 하고 있는 학생들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분명 노력은 하는...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