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영쌤.png

 


 

아이 스스로 당당하게 세상 위에 설 수 있게 이끄는 멘토, 이지영입니다

 


“나를 사랑하니까 나는 공부한다.”

 

    한 교육업체의 광고문구지만, 왜 공부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훌륭한 문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공부를 하나요? 1등 성적표 가져오면 엄마가 좋아하니까? 좋은 대학에 들어가면 아빠가 자랑스러워하시니까? 엄마친구 딸하고 비교되기 싫으니까? 아빠친구 아들 때문에 기죽지 않으려고? 공부가 성적 그 자체, 대학 그 자체로 본말전도된 세상이라 왜 공부하는지를 모두 잊어버린 모양입니다.

 

    어릴 때는 힘든 일이나 곤란한 일이 있어도 부모님의 도움 아래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지만, 사회에 발을 디디게 되면 더 이상 부모님이 도와주실 수 없는 일들 투성이인 곳이 세상입니다. 가령, 장래희망이 판사라고 합시다. 폭행사건으로 기소된 가해자와 피해자가 각기 판사 앞에서 자기 입장을 강변합니다. 이 사람 얘길 들어보면 이 사람 얘기가 옳고, 저 사람 얘길 들어보니 저 사람 얘기가 또 옳네요. 그럼 판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엄마한테 가서 물어볼까요?

 

공부는 결국 세상을 살면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우는 것입니다.

 

    미분적분 배워서 슈퍼마켓에서 물건 살 때 쓰냐고, 프랑스혁명의 원인을 몰라도 사는데 지장 없다고 농담 삼아 얘기들 합니다. 수학을 배움으로써 문제를 단계별로 해결하는 논리적인 사고력이 발달하고 역사를 앎으로 인해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멀리 내딛을 수 있다는 것은 생각해보지 않고서. 왜 공부를 하는지에 대한 것부터 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모님의 걱정과 염려도 결국 자녀가 잘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지만 아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본인도 모르는 상태에서는 그저 잔소리와 간섭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공부에 대한 부담감과 거부감만 생길 수 있지요. 아이로 하여금 자신이 왜 공부하는지 그 이유를 정확히 깨닫게 한다면 공부하려는 의지도 태도도 정립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기대나 선생님의 권유 때문이 아니라 나를 위해서 하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의욕만 앞선다고 다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달리기를 잘 한다고 해서 다 결승선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고 결승점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것도 내게 맞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누구도 대신 해주지 못하는 (걱정은 대신 많이 해줍니다만^^) 공부, 그 외로운 싸움을 지치지 않고 계속 달려나갈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바로 진정한 멘토 아닐까요.

 

    자신의 미래를 위해, 앞으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나 자신을 위해 공부할 수 있도록 그래서 세상을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디딤돌을 놓아주려고 합니다. 그것이 먼저 공부하고 먼저 입시를 통과하고 먼저 세상을 살아본 인생 선배로서 후배들을 도울 수 있는 제일 좋은 방법일테니까요.

 


연세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제목
설은수 수학 멘토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졸업 File
  • 김수영 멘토 / 서울대 영어교육과 졸업

    노력으로 만점을 일구어 내는 근성 있는 멘토, 김수영입니다. 노력으로 만들어낸 수학 1등급 멘토는 중학교 때부터 수학에 유독 약한 학생이었습니다. 고등학교에 올라와 남들이 공부하는 것을 따라 열심히 공부해 보았지만 수학 성적이 좀처럼 오르지 않았습니다. 틀린 문제를 자꾸 틀릴 때의 좌절감이 가장 컸습니다. 그럴...

  • 김선우 멘토 / 고려대 행정학과 졸업

    공부는 나를 스승으로 만드는 것, 멘토 김선우입니다. 고등학교 3학년 3월 모의고사 수리 33점에서 9월 모의고사 96점으로, 결국 공부는 내가 하는 것 미국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외국어 특성화 고등학교를 진학한 저는 수학과 과학 영역에 유독 취약한 이른바 ‘상문과’ 학생이었습니다. 한국 중등 수학 교육과정을 건너뛴 ...

  • 이민지 멘토 /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자기 효능감, 도약의 첫 걸음입니다. ‘나는 할 수 있다’는 자기 효능감은 노력을 시작하게 만드는 씨앗이 됩니다. 성적이 마음대로 오르지 않는 현실에서 많은 학생들이 ‘나는 할 수 없어. 해봐야 소용없어.’하고 노력을 시작할 용기와 동기도 잃어버리곤 합니다. 저도 고1 당시에는 서울대학교는 꿈도 못 꿀 성적이었습니다...

  • 신이솜 멘토 / 서울대 건축학과 졸업

    공부를 왜 하는지, 학생과 함께 그 목적과 이유를 찾는 신이솜 멘토 공부는 왜 하는가? 공부를 어떻게 해야 잘할까? 공부를 잘한다는 건 뭘까? 그래서 대체 뭘 위해 이 고생을 하는 거지? 추상적인 개념들이 대개 그렇듯, 이런 생각들은 항상 머리를 맴맴 돌게 됩니다. 당연히 학생 입장에서는 머릿속에 맴돌 수밖에 없습니...

  • 손준혁 멘토 / 연세대 천문우주,물리학과 졸업

    "올바른 목표설정은 공부의 시작" 고등학생이 되고 나서 전교 1등을 목표로 잡았다. 전교 1등이 무척 하고 싶었다.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 번째는 내 공부법이 옳은지 증명하기 위함이었고 두 번째는 좋아하던 여학생 때문이었다. 그 아이에게 고백할 용기가 나지 않았는데 전교 1등을 한다면 떳떳하 게 고백할 수 있을 ...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