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은수 멘토(서울대 기계항공공학)

 

“내신 30점대, 근데 모의고사는 2등급 나와요. 그래서 그냥 정시로 가려고요.”

강남의 자사고에 다니던 한 친구의 이야기입니다.

처음 듣기엔 꽤 타당해 보입니다.

모의고사 성적이 더 높고, 실력도 그만큼 있다는 의미일 테니까요.

 

하지만 정말 정시로 방향을 트는 게 유일한 해답일까요?


 

수능보다 더 타이트한 게 내신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내신을 만만하게 봅니다.

모의고사보다 쉬운 문제들이 출제되니까, 당연히 더 잘 풀릴 거라 생각하죠.

하지만 정작 시험 시간 안에 모든 문제를 정확하게 풀어내는 훈련, 이걸 하지 않은 채로 시험에 들어가면 결과는 참담합니다.

 

실제로 그 학생도 시험 시간 안에 겨우 12문제를 풀었고,

그중에서도 2~3개는 계산 실수.

나머지 문제는 그냥 ‘찍기’로 넘겼습니다.

 

이유는 명확합니다.

시간 안배 전략이 없었던 거죠.

내가 반드시 맞출 수 있는 문제부터 골라 푸는 게 아니라

1번부터 순서대로 푸니까, 중간에 킬러 문항에서 시간 다 쓰고

뒤쪽 쉬운 문제도 놓치고 마는 겁니다.


'나는 정시 체질이야'라고 하기 전

 

“정시로 갈래요.”

내신이 뜻대로 되지 않으니 방향을 트는 건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저는 늘 이렇게 묻습니다.

내신을 포기하기 전에

시험 시간 안배와 문제 우선순위 전략을 제대로 해봤니?

모의고사는 실력, 내신은 전략입니다.

이 사실을 모르는 채, 단지 점수만 보고 방향을 정한다면

수시라는 기회를 너무 이르게 포기하는 셈이 될 수 있어요.


고1 특히 1학기, 성적이 흔들리는 건 당연합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때, 성적이 제일 안 좋았어요.

왜냐면 그 시기는 중학교식 공부 방식에서 고등학교식 시험 전략으로 넘어가는 시기니까요.

그래서 저는 늘 말합니다.

늦어도 고2 1학기까지는

수시와 정시 둘 다 열어두고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


 

내신을 버리기 전에, 전략을 먼저 점검하세요

 

내신 성적이 낮다고 ‘나는 정시형’이라 단정 짓기 전에

시험을 ‘어떻게 풀 것인가’에 대한 전략을 먼저 훈련해보세요.

그 훈련 없이 내신을 버리기엔,

수시라는 기회가 너무 아깝습니다.

그리고 그 전략은, 중학교 때부터 잡아주는 게 가장 이상적입니다.

그게 바로 입시의 시작점이니까요.

 

 

 

제목
설은수 수학 멘토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졸업 File
  • 내신은 바닥인데 모의고사는 2~3등급, 그럼 난 정시?!

    설은수 멘토(서울대 기계항공공학) “내신 30점대, 근데 모의고사는 2등급 나와요. 그래서 그냥 정시로 가려고요.” 강남의 자사고에 다니던 한 친구의 이야기입니다. 처음 듣기엔 꽤 타당해 보입니다. 모의고사 성적이 더 높고, 실력도 그만큼 있다는 의미일 테니까요. 하지만 정말 정시로 방향을 트는 게 유일한 해답일까요?...

  • 수능 3개월 앞둔 고3의 개념 공부 결과 - 70점에서 수능 수학 만점

    개념을 다시 본다고요, 지금 고3인데? 설은수 멘토(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수능이 불과 서너달 남은 7월, 여름방학이 시작하기 얼마 전에 고3 학생이 멘토를 찾아왔습니다. 지금 수업을 시작해서 뭘 할 수 있을까, 점수를 올린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에 멘토는 거절하려고 했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이 학생이 평소 ...

  • 김유석 멘토 / 연세대 건축공학부

    김유석 멘토(연세대 건축공학부)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 중에도 흔히 말하는 ‘대치동 키즈’가 있을 겁니다. 대치동에서 학원을 다니면 성적이 오를 거라는 막연한 기대가 있었을 테지만, 생각만큼 빠른 성과가 나오지 않거나 바쁜 일정 속에 숙제할 시간도 없어 고민하는 친구들도 많을 것이고, 과연 이렇게 공부하...

  • 이승현 멘토 / 서울대 건설환경 공학 졸업

    수학은 소위 '국영수사과' 과목 중에서도 성적대별로 해야 할 공부가 비교적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는 과목입니다. 성적대별로 학생에게 현재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진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국어나 영어의 경우, 성적이 안 나오는 데는 수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휘가 부족할 수도 있고, 어법이 ...

  • 김지윤 멘토 / 서울대 국어 교육과 졸업

    국어 능력의 핵심, '읽기 능력' : '읽기' 란 무엇인가? 십수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를 가르치고 또 관리해오며 느낀 바는, 실로 많은 아이들이 읽기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읽기 능력이 부족하다고 말하면 '한글을 누가 못 읽어요?' 하고 반론할 수도 있겠습니다. 글자를 못 읽는다는 게 아닙니다. 글을 정확하고...

태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