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성적이 안 나오는 이유
- 국어 공부법 멘토
- 첨부 8개
- 강_01.jpg [File Size:3.31MB]
- 수능국어_보기문항.png [File Size:703.9KB]
- 001.png [File Size:1.05MB]
- 002.png [File Size:475.9KB]
- 003.png [File Size:482.6KB]
- 004.png [File Size:457.6KB]
- 006.png [File Size:386.2KB]
- 수학쫌한다는친구들의함정_복사본-005.png [File Size:830.9KB]
강태완 멘토(고려대 경영학과)
많은 학생들이 "국어가 너무 어려워요"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조금 더 들여다보면, 단순히 국어가 어렵다기보다 '글 읽는 연습' 자체가 안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연습이 부족하다고 국어 공부를 포기할 순 없죠.
무작정 열심히 하려 하지만, 그만큼 헛수고와 시행착오도 반복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어 공부에 있어 오히려 성적을 떨어뜨릴 수 있는 잘못된 습관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주제는 바로 "국어 공부, 이렇게는 하지 마라!" 입니다.
1. 지문에 밑줄 긋기? 글 읽기가 익숙하지 않다면 오히려 독!
밑줄 긋기는 흔히들 하는 공부 방법입니다.
하지만 글을 읽는 데 아직 익숙하지 않은 학생이라면, 밑줄은 정보만 흩어지게 만들 뿐입니다.
글의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문장만 붙잡는 경향이 생기죠.
이럴 땐 오히려 화살표, 연결선, 도식화 같은 방식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글이 어떤 흐름으로 전개되는지, 문단 간 관계가 어떤지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특히 첫 문단에 집중하면, 전체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첫 문단에서 주제를 잡고 나면, 뒤 문단은 자연스럽게 따라가게 되니까요.
2. 기출문제? 풀기만 해선 소용 없습니다
기출문제를 푸는 건 수능 대비에 분명 중요합니다.
하지만 국어 실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출만 무작정 푸는 건 오히려 역효과일 수 있어요.
기출에는 난이도와 유형이 뒤섞인 문제들이 한꺼번에 들어가 있기 때문이죠.
이런 문제들을 제대로 소화하려면, 먼저 유형별 독해 훈련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단락마다 명확하게 흐름이 이어지는 지문
-
중간에 방향이 급변하는 지문
-
서술 방식이나 관점이 뒤섞인 지문 등
각 유형마다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이걸 훈련하지 않은 채 실전 문제만 풀면, 늘 같은 지점에서 막히게 되죠.
기출은 복습과 점검의 수단이지, 처음부터 실력을 키우는 도구는 아니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3. 어려운 문제만 붙잡지 마세요
"복잡한 독서 지문, 고난이도 보기문항… 이걸 풀어야 등급이 오르겠지?"
이런 생각을 하는 학생들이 꽤 많습니다.
하지만 국어 실력이 부족한 상태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글을 잘 읽는 것'입니다.
아무리 어려운 문제를 풀어도 기본적인 독해력이 부족하면 실력은 제자리입니다.
그리고 실전 전략적으로도,
복잡한 문제를 억지로 풀기보다는 문학의 단순 일치 문제, 언어와 매체의 기초 개념 문제를 정확히 맞히는 것이 더 큰 효과를 냅니다.
게다가 실제 수능 문제는 지나치게 복잡하게 출제되지 않는 편이라는 점도 참고해 주세요.
국어 공부는 단기간의 암기나 요령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글을 읽는 힘, 흐름을 파악하는 감각, 문장과 문단을 연결하는 논리적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죠.
오늘 소개한 세 가지,
-
밑줄 긋기만 하지 말 것
-
기출문제를 무작정 풀지 말 것
-
고난이도 문제에만 집착하지 말 것
이 세 가지만 조심해도, 국어 실력은 훨씬 더 빠르게, 효율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열심히는 하는데 왜 성적이 안 오르지?" 고민이라면,
이제는 공부법을 점검할 때입니다.